CCI는 상대적으로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 중 하나로, 기술적 분석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주식, 외환, 암호화폐 등 다양한 시장에서 사용되며, 시장의 흐름과 변동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CCI는 1980년대에 도입되었으며, 당시에는 상당히 혁신적인 지표였습니다. 이후 기술적 분석 지표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CCI는 트레이더들이 가격의 흐름과 변동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매매 시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CCI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되는지, 그리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CI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에 상한선과 하한선을 그려서, 그 거리 안에서 주가 움직임을 분석합니다. 이 때,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평균과 가격 변동폭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CCI 값이 상한선을 돌파하면 매수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고, 하한선을 돌파하면 매도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CCI는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는 아니지만, 추세의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른 추세 지표와 함께 사용됩니다. CCI 값이 상승하면서 상한선을 돌파하는 경우, 상승 추세가 강해질 가능성이 높으며, CCI 값이 하락하면서 하한선을 돌파하는 경우, 하락 추세가 강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CCI의 장점은 주가의 방향과 함께 가격 변동성을 고려하여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매수와 매도 시기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며, 가격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CCI도 모든 기술적 분석 지표와 마찬가지로, 100% 정확한 예측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이 지표를 사용할 때는 항상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오랜 기간 동안의 변동성이 큰 경우 지표의 값이 상한선과 하한선을 넘어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조심스럽게 분석해야 합니다.
기법
CCI(Commodity Channel Index)는 추세 지표가 아니지만, 추세의 강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매매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CCI는 상한선과 하한선을 기준으로 주가 움직임을 분석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매수와 매도 시점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CCI를 이용한 매매 기법 중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CCI 값이 상한선을 돌파하면 매수, 하한선을 돌파하면 매도하는 것입니다. 이 때, 상한선과 하한선은 일반적으로 +100과 -100으로 설정합니다. 즉, CCI 값이 +100을 돌파하면 매수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으며, -100을 돌파하면 매도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입니다.
또한, CCI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매매 시기를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CCI 값이 상승하면서 상한선을 돌파하는 경우, 매수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으며, CCI 값이 하락하면서 하한선을 돌파하는 경우, 매도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때, CCI 값이 변화하면서 상한선 또는 하한선을 돌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CCI의 다른 장점 중 하나는 추세의 전환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추세가 상승하던 중 CCI 값이 하락하면서 하한선을 돌파하는 경우,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으며, 추세가 하락하던 중 CCI 값이 상승하면서 상한선을 돌파하는 경우, 상승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m(이동 평균 가격)=M값의 이동평균, M/n
n(기간)=일수
※ n의 기간 5~25일
상수 0.015 는 램버트 상수
CCI의 요약
CCI의 의미
- CCI +100 이상 : 과매수 상태
- CCI -100 이상 : 과매도 상태
- CCI 〉 0 : 상승 추세
- CCI = 0 :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이론적으로 같은 구간
- CCI 〈 0 : 하락 추세
CCI의 매매 시점
- CCI가 +100을 상향 돌파 -> 매수 신호
- CCI가 -100을 상향 돌파 -> 매수 신호
- CCI가 +100을 하향 돌파 -> 매도 신호
- CCI가 -100을 하향 돌파 -> 매도 신호
- 0선을 기준으로 CCI가 상향 돌파 -> 매수 신호
- 0선을 기준으로 CCI가 하향 돌파 -> 매도 신호
2022년 11월 중순경 +100을 하향 돌파하여 매도신호가 포착이 됩니다. 그 후 2022년 12월 말경 -100선 기준 하향 돌파 후 다시 상향 돌파하여 매수 신호를 보내는 모습이 포착됩니다.
2022년 12월 중순경 -100선 기준 하향 돌파후 상향 돌파하여 매수 신호를 보냅니다. 이후 2023년 2월 +100을 상향 돌파하여 다시 매수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추세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보니 일반적으로 100% 맞기는 힘듭니다. 시장의 여러가지 상황을 보고 종합적으로 판단을 하시는게 맞지 않나 합니다. 두 곳의 그래프는 참조만 하시기 바랍니다. 시장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부분만 표기 되기에 미래의 변동 부분은 표기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CCI를 이용한 매매 기법도 모든 기술적 분석 지표와 마찬가지로 100% 정확한 예측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이를 이용할 때는 항상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적절한 자금 관리와 리스크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해야 합니다.
유의할 점
CCI 값의 해석: CCI 값이 상한선과 하한선을 돌파하는 경우 매수 또는 매도 기회를 찾을 수 있지만, 이 때 CCI 값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도 중요합니다. CCI 값이 상승하면서 상한선을 돌파하더라도, 그 상승폭이 작다면 매수 타이밍이 아니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CI 값의 크기와 움직임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추세 전환의 예측: CCI는 추세 전환의 예측에도 유용한 지표입니다. 하지만 CCI 값이 추세 전환 시기에 반드시 상한선 또는 하한선을 돌파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CCI 값의 움직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술적 분석 지표와 함께 사용: CCI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다른 기술적 분석 지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욱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MACD나 이동평균선 등과 함께 사용하여 시그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적인 추세에 대한 고려: CCI는 단기적인 변동성을 분석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추세에 대한 고려도 필요합니다. CCI 값이 상한선 또는 하한선을 돌파하더라도, 장기적인 추세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매매에 주의해야 합니다.
자금 및 리스크 관리: 모든 매매에는 자금 및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CCI를 이용한 매매도 예외가 아닙니다. 적절한 자금 관리와 리스크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해야 합니다.
결언
CCI는 상대적인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 입니다. 기술적 분석 기법으로 여러 시장에서 사용 됩니다. 1980년 도입 당시에는 혁시적인 지표로 인정 받았으며 지금까지도 많은 분들이 활용하고 있는 지표입니다. 이 글에서 CCI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한 것이 다른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과 주식의 상관 관계에 대한 이해. (0) | 2023.03.01 |
---|---|
주식 차트의 종류에 대한 이해. (1) | 2023.02.28 |
코스피와 코스닥이란 무엇인가? (0) | 2023.02.27 |
기술적 지표 MACD란 무엇인가? (1) | 2023.02.27 |
기술적 지표인 ADX에 대한 이해 (0) | 2023.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