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온난화

기후 위기의 자연적 원인 4가지.

by goblin-mode 2023. 1. 31.
반응형

자연적 원인이란?

인간의 행동으로 인한 원인이 아닌 자연적, 천체적 원인에 의해 지구의 온도에 변화가 생긴다는 것으로 인위적인 요인과 자연적인 요인이 같이 작용하여 둘 다 영향이 있다고 합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사람의 행동에 의한 기후 위기를 음모론으로 이야기 하기도 하지만 과학적으로는 둘 다 영향이 있다가 사실입니다.

 

자연적 원인 4가지

1. 태양 복사량

태양활동에 의한 기후 위기를 이야기 합니다. 태양 복사량의 변화에 의한 지구온난화로 2010년 세종과학기지의 연구에 따르면 이미 지구는 소빙하기에 진입하였다고 합니다. 북반구의 이상한파를 미리 이야기 하기도 했습니다.

 

2. 지구 운동

태양의 복사량이 일정하더라도 지구의 자전축의 변동, 세차운동, 공전궤도 변동에 의한 지구의 태양 복사량에 영향이 생겨 지구 기온의 변화가 생긴다고 합니다. 과거의 지구 기온과 비교하여 빙하기가 오는 이유를 설명하는 정설로 인정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온나화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합니다.

 

3. 우주 먼지

빙하기가 우주먼지라는 결론이 2019년에 나왔습니다. 17세기의 소빙하기도 우주 먼지라고 주장하기도 하고 있지만 지금의 기온 상승과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고 합니다.

 

4. 태양광 반사율 감소

인간의 개발에 의한 빙하, 빙상, 영구동토층의 융해, 산림 훼손에 의해 태양관 반산율을 감소시켜 지구에 태양에너지를 축적된다는 이론 입니다. 이들 자체가 지구 온난화의 결과이고 악순환은 반복입니다.

 

많은 학자들이 연구하고 있지만 태양 복사량 증가, 지구 운동, 우주 먼지, 태양관 반사율 감소의 자연적인 원인들에서 뚜렷하게 원인이라고 할만한 것은 개발에의 의한 지구의 반사율 감소가 아닐까 합니다. 사실상 인간의 활동으로 기후가 변화하고 기후 위기가 초래하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반응형

댓글